최근검색어
  • FAQ
  • 제안
개요
바이오정보 분산관리는 고객이 비대면 환경에서 생체정보로 편리하게 본인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, 등록된 생체정보를 기관과 금융결제원 간에 안전하게 분산하여
관리하고 있어 편리성과 안전성을 모두 갖춘 서비스입니다.
바이오분산처리 개요
바이오정보 분산관리서비스 구성주체
참가기관 : 바이오정보 분산관리시스템을 통해 생체정보를 분할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기관(은행, 보험사, 증권사, 카드사 등)
금융결제원 : 참가기관 공동으로 바이오정보 분산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인증중계센터
이용기관 : 금융결제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하여 생체정보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금융기관
일반고객 : 기관을 통해 생체인증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
기대효과
고객은 생체정보로 편리하게 본인확인을 하여 기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, 기관은 안전하게 생체정보를 분산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편의성과 안전성을 모두 기대할 수 있습니다.
이용대상
일반고객 : 만 19세 이상 (세부 이용고객 조건은 이용기관이 결정 가능)
실시기관 (`24.7월 기준)
참가기관 : (은행) 농협, 신한, 우리, 기업, 국민, 하나, 수협, 대구, 부산, 광주, 제주, 전북, 경남, 케이뱅크 (서민금융) 우정사업, 새마을금고, 신협, 농협중앙회 (증권) NH투자, 신한투자, 한국투자 (보험) 삼성생명, DB손보, 롯데손보, 메리츠화재, 삼성화재, 하나손보, 한화손보, 현대해상, 흥국화재
이용기관 : 한국공항공사
주요 API
등록 API, 인증 API, 관리 API, 연계인증API
문의
메일 아이콘
메일문의
bio@kftc.or.kr
loading_icon